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 설치기 – 섬마을회관 편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 설치기 – 섬마을회관 편

오늘은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물재이용법) 제8조, 동법 시행령 제10조, 동법 시행규칙 제4조에 따라 설치 의무대상에 해당하는 건물에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을 설치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 설치 대상

해당 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건물은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 설치 의무 대상에 포함됩니다.

1. 지붕 면적 1천㎡ 이상
   - 종합운동장, 체육관
   - 공공업무시설
   - 공공기관 청사(군사·국방시설 제외)
2. 건축면적 1만㎡ 이상인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등)
3. 건축면적 5천㎡ 이상의 학교(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등)
4. 부지면적 10만㎡ 이상의 골프장
5. 대규모 점포

이에 따라 00도 마을회관과 대합실 건물 부근에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을 설치하기로 하였습니다.

 

 


섬마을로 이동 – 배에 싣고 출발!

아침 9시쯤 00선착장에서 4명의 인원과 총 5대의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을 배에 싣고 출발했습니다.
날씨는 눈도 오고 바람도 불어 매우 추운 상황이었어요. 20여 분간 배를 타고 이동하여 목적지인 00 섬에 도착했습니다.
배에서 내리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설치 장소까지 옮기는 일이 더 막막했어요. 마을회관이 언덕 꼭대기에 있었기 때문이죠.

해결책 – 골프장 카트 활용!

마침 근처에서 골프장 카트가 보이길래 촌장님께 사용 가능 여부를 여쭤봤고, 흔쾌히 허락해 주셨습니다. 덕분에 한시름 놓고 작업을 시작할 수 있었어요!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 설치 과정

골프카트를 이용해 언덕을 오르며 안전이 최우선이라 생각했습니다.
자재를 한 번에 이동하는 대신하나씩 옮기기로 결정하고, 카트에 단단히 고정한 뒤, 앞에서는 천천히 운전하고 뒤에서는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잡으며 이동했습니다.
1. 베이스판 설치
설치 장소에 도착한 후, 빗물저금통(빗물이용시설)의 베이스판을 평탄화하여 단단하게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2. 빗물저금통 고정
베이스판 위에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을 올려 안전하게 고정했습니다.
3. 배관 연결 및 수전 설치
- 우수관을 뚫고 설치한 집수 및 분배 필터를 연결
- 빗물이 모일 수 있도록 배관 연결
- 수전을 설치하고 모터 연결하여 정상 작동 여부 확인
4. 마무리 작업
- 빗물저금통을 감싸고 있던 비닐 제거
- 커버 덮기로 마무리!
설치 후 테스트를 진행해 문제없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 유지관리 방법

설치 후 동행한 감독관님께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의 유지관리 원칙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1. 일상적인 관리 수행 – 안전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관리 필요
2. 관리대장 작성– 빗물 사용량, 누수 여부, 가동 점검, 청소 일정 기록
3. 고장 발생 시 즉시 수리 – 일정 기준의 수량·수질이 얻어지지 않으면 즉각 조치
4. 운영 관리자 기준 준수 – 이상 발생 시 즉시 보고 및 대응
5. 안전위생 준수 – 「산업안전보건법」 등의 관련 법규 준수
6. 음용 금지 표시 – 빗물은 절대 마시면 안 됨
7. 빗물집수면 청결 유지 – 표시 및 정기적인 관리 필요
8. 해충 발생 방지 – 청결 유지 및 필요한 장치 마련
9. 청소 시 안전조치 필수 – 유독가스 및 산소결핍 여부 확인 후 환기 등 조치 필요

특히, 음용 금지 안내를 강조하여 주민분들이 착각하지 않도록 주의를 주었습니다.
이에 촌장님께서 조경수 및 청소 용수로만 사용하겠다고 하셨습니다.

다음 작업 – 대합실 뒤편 빗물이용시설 설치
이날 작업을 마무리하고, 다음 설치 장소인 선착장 대합실 뒤편에 빗물이용시설(빗물저금통)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설치 과정 및 유지관리 방법을 정리한 자료가 필요하시다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세요.
문의 전화: 032-233-7579